안녕하세요.
도전하는 소소한 직장인입니다.
요즘 저는 부쩍 또 생각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내가 지금 나아가는 방향이 맞는 것인지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우리 가족들이 편하게 살건지,
나는 무엇을 하며 살아야 행복할지 등 생각이 정말 많은 생각이 듭니다.
아이가 한 번 또 아픈 뒤로 더욱 그런 생각이 드는 것도 같고...
짬뽕입니다 짬뽕 ㅎㅎ...
그러면서 오늘은 무슨 포스팅을 해보면 좋을까 하고 생각하던 도중,
최근 제가 저축을 위해 여기저기 적금을 알아봤는데,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좀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원래 알던 내용이 였지만, 최근 약간의 제도가 개선되며 가입할 메리트가 늘어났더라고요.
사실 요즘 대출금리는 그대로인데, 적금 금리는 엄청 떨어졌잖아요?
시중 일반 저축은 4% 대도... 사실... 12개월짜리 단기 적금만 있고... 참... 어렵습니다.
그래서 현시점에서는 청년도약계좌가 나름 매리트가 크지 않나 싶어서 들어볼까 합니다.
그러면서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내용을 공유를 해볼까 합니다.
일단 '2025년 달라진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내용은 간단합니다.
'청년들을 위한 저축'이다 이 정도만 아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가입대상과 조건이 중요한데요.
서민금융진흥원에 따르면, 나이는 만 19세~ 34세 이하가 가입 대상입니다.
자세한 소득 조건 등은 서민금융진흥원에 나온 자료를 확인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다음으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혜택이겠죠?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은 크게 3가지입니다.
정부기여금, 비과세혜텍, 소득+우대금리입니다.
저는 이중 특히 비과세 혜택이 가장 매리트 있는 부분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소득 구간에 따라 월 최대 정부 기여금을 33,000원을 받을 수 있으니,
지금 현시점에서는 최선의 선택이지 않을까 생가합니다.
가입 절차는 간단합니다.
원하시는 은행에 해당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지 확인하고,
* 협약은행: KB국민, 신한, 우리, 하나, IBK기업, NH농협, 부산, 광주, 전북, 경남, iM뱅크(구 대구은행)
해당 절차가 완료되기까지 기다리시면 됩니다.
2월 신청 절차는 끝났고 이제 3월 신청이 진행 중이니,
월마다 일정을 확인 후 신청하시면 되겠습니다.
저 같은 경우 2월에 가입 대상 여부를 확인받아 지금 계좌를 개설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습니다!!
아래 3월 일정표도 첨부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제가 서두에 말씀드린 것처럼 2025년도 제도가 개선되고,
시중 적금 금리가 떨어지면서 '청년도약계좌'의 매리트가 더 좋아졌는데요.
그중 가장 좋은 점은 3년 이상만 가입을 유지하면,
중도해지하더라도 비과세 혜택과 기여금 일부(60%)를 지원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사실 청년도약계좌의 단점이 5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돈이 묶인다는 점인데.
일부 긴 하더라도 청년도약계좌의 좋은 금리에 비과세 및 기여금 일부까지 받을 수 있으면,
시중 일반 적금보다는 훨씬 좋지 않나 제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또한 2년 이상 가입을 하면,
납입원금의 40% 이내로 부분 인출이 가능하다는 점도 정말 큰 매리 트지 않나 생각합니다!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저도 새로운 적금을 들기 위해 알아보던 중 2025년도 새로워진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게 돼서,
제가 알게 된 내용을 공유해 드리고 오늘 포스팅을 작성하게 됐습니다.
큰 내용은 아니지만, 여러분들과 같이 내용을 공유하면 좋을 것 같아 오늘 포스팅을 준비해 봤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사, 도전하는 소소한 직장인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일상이야기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시청맛집) 광주광역시 시청 근처 맛집 조선짬뽕&카페 온다방 (1) | 2025.03.18 |
---|---|
(광주맛집, 쌍촌동 맛집) 삼겹살, 항정살 맛집 “쌍촌동 돈통구이” 광주 맛집 (2) | 2025.02.28 |
(봉선동맛집) 부엌간 봉선점 리뷰(파스타&리조또&피자) (3) | 2025.02.25 |
(광주&전남 근교 키즈카페)화순 키즈라라 리뷰, 키즈카페 (3) | 2025.02.23 |
(위스키 키트 내돈내산) DIPIN 키트 홈메이드 위스키 만들기 후기 (3) | 2025.02.21 |